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민생회복지원금 정책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는 바로 ‘상위 10% 선별 지급’이에요. 지원금을 보다 필요한 사람에게 집중하자는 취지는 좋지만, 이걸 선별하는 데만 무려 50억 원이 들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게다가 전체 예산 중 소비쿠폰 운영비까지 포함하면 약 600억 원 이상이 '행정비용'으로 쓰이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.
오늘은 이 민감한 숫자들을 중심으로, 정책의 의도 vs 실행 현실을 냉정하게 짚어보겠습니다.
📌 정책비용 분석 보고서 전문은 YDI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
50억이라는 숫자는 어디서 나온 걸까?
먼저 ‘상위 10%를 가려내는 작업’에 투입된 인력과 시스템 비용이 문제의 핵심이에요.
- 국세청 소득 자료 연계
- 건보공단 건강보험료 소득 환산
- 금융정보 연동 검증
이 모든 절차가 디지털화되어 있다 해도, 행정절차 설계 + 위탁비용 + 시스템 유지비 등이 포함되면 50억 원 수준은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규모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.
하지만 이 과정을 통해 제외되는 인원은 전체 수혜자 중 단 10%. 과연 이 정도의 행정비용이 ‘절약’이었을까요?
국민 감정은 '공정'보다 '허탈'
인터넷 커뮤니티 반응과 SNS 감성 분석을 보면, '공정하게 나눠야 한다'는 의견보다 “차라리 전 국민에게 간단하게 줬으면” 이라는 반응이 많았어요.
한 네티즌은 이렇게 말했습니다. “상위 10% 걸러내려고 50억 쓴 건, 10%를 지원한 거랑 다를 게 없네요.”
실제로 국민 입장에서는 예산 효율보단 체감 효과와 실질 혜택이 중요한데, 이번 정책은 ‘절약을 위한 과도한 지출’이라는 역설을 낳고 말았어요.
총 600억, 어디로 흘러간 걸까?
정책 전체 예산 중 소비쿠폰 운영비 등 포함 예산이 600억 원이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. 항목을 살펴보면:
예산 항목 | 예상 비용 |
---|---|
상위10% 선별 작업 | 약 50억 |
쿠폰 시스템 운영 및 가맹점 정산 | 약 420억 |
홍보, 위탁 및 유통수수료 | 약 130억 |
즉, 실제 국민에게 돌아가는 지원금은 전체 예산 대비 60%도 안 되는 셈입니다. ‘행정비용이 지나치다’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어요.
지원이 아닌 행정이 목적이 되는 건 아닐까?
지원정책은 원래 ‘신속하고 간편한 전달’이 핵심이에요. 하지만 현재 민생회복지원금은 복잡한 선별 + 정산 + 수수료에 에너지를 너무 많이 쓰고 있는 구조로 보입니다.
정책이 **과도한 시스템 중심으로 흘러간다면**, 진짜 필요한 사람은 그 사이에서 혜택을 놓칠 수 있어요. 그리고 이런 정책은 **국민 신뢰 저하**로 이어집니다.
앞으로의 정책, 어떤 기준이 필요할까?
단순히 예산을 아끼는 것보다, 적은 비용으로 많은 사람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는 방향이 더 현명합니다.
물론 예산은 한정되어 있고, 소득 구간별 형평성도 중요하지만, 정책 설계 시 ‘국민 감정’이라는 현실적 변수를 간과해서는 안 돼요.
다음 지원금 정책에서는 비용 대비 효과, 국민 신뢰, 체감 편의성이 모두 고려되길 바랍니다.